본문 바로가기
임티 세상/지식

7월 재산세 마감일이 다가와요

by 임티스토리 2025. 7. 23.
반응형

7월 재산세 납부 안 하면?

재산세 연체 시 불이익 총정리! 해드립니다.

 


 

1. 재산세 납부 기한, 지나면 어떻게 될까?

 

7월은 1년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세금 고지서를 받는 시기입니다.
그중에서도 재산세는 주택, 토지, 건물 등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죠.

2025년 7월분 재산세는 **7월 31일(수)**까지 납부가 원칙입니다.
하지만 혹시 바쁜 일상에 치여 깜빡하거나, 고지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해 기한을 넘겼다면 어떻게 될까요?

 


 

2. 연체 시 적용되는 '가산금'

재산세를 납부기한 내에 내지 않으면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
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1차 가산금:
    납부기한 경과 후 3%의 가산금이 최초로 부과됩니다.
    예: 30만 원 세금 → 9천 원 가산금 추가
  • 중가산금:
    납부기한 경과 1개월 후부터는 매달 1.2% 추가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
    (최대 60개월까지 부과 가능)

💡 예시 계산
30만 원 세금 → 6개월 연체 시 약 10,800원의 가산금 발생


 

3. 장기 연체 시 압류·공매도 가능

연체 기간이 길어질 경우 단순한 가산금 문제가 아닙니다.
세무 당국은 재산 압류, 급여 압류, 차량 압류까지 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자동차 등록 제한
  • 예금 압류
  • 부동산 공매처분
  • 신용상 불이익 (체납 정보 금융기관 통보 가능)

단순 실수라도 방치할 경우 생각보다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
 

 4. 실수로 연체했다면? 이렇게 대처하세요

✅ 1) 위택스 or 지자체 홈페이지 확인

위택스 접속
– 미납 내역 확인 후 납부 가능

✅ 2) 가까운 은행 또는 시청 민원실에서 납부

✅ 3) 연체 기간이 길 경우 → 분납 or 체납처분 유예 요청 가능

소득이 급감했거나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면
관할 세무부서에 납부유예나 분할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.


 

 5. 연체 방지 꿀팁! 다음 해엔 꼭 실천해요

  • 📱 카카오페이/네이버페이 고지서 알림 신청
  • 🏦 은행 자동이체 등록 (정기 세금 자동 납부)
  • 📅 캘린더 알림 설정: 6월 말~7월 초 반복 알림 설정

특히 위택스서울시 ETAX, 지자체 알림톡 서비스를 등록해두면
고지서 발송 시점부터 미납까지 실시간 알림을 받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.


 

✅  연체보다 무서운 건 무관심

 

단순한 실수로 세금이 연체되더라도 가산금·압류·신용상 불이익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한 번만 신경 쓰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문제이니, 납부 확인은 꼭 한 번 더! 해두는 것이 좋겠습니다.

 


 

* 같이 보면 좋은 글 : https://84im.tistory.com/46

 

7월 재산세 납부-총정리

🏡 재산세 납부, 꼭 알아야 할 5가지1. 재산세란 무엇인가요?재산세는 지방세의 하나로, 부동산(주택, 건축물, 토지 등)을 보유한 사람에게 매년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과세 대상은 보유한 재산의

84im.tistory.com

 

반응형